손익차이분석
경영정보 Needs

일반적인 경영정보 Issue
- 매출수량 증감 시 손익이 얼마만큼 증가하나?
- 새손실 발생 시 몇 개를 추가로 팔아야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는지?
- 얼마까지 DC해주어야 목표손익달성에 문제가 없겠는가?
- 생산 단계에서 이익을 내고 있는지, 판매/마케팅에서 이익을 내고 있는지?
- 이익에 도달하는데 까지 어느 Function이 더 많이 기여했는지?
PVA 기본개념
경영이란 기업의 이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판매/생산/구매/관리/지원등의 활동이 Plan > Do> See를 연속하는 과정입니다. 일반적인 계획(과거실적)대비 손익분석은 주요항목별로 차이분석을 하는 형식입니다.
계획(전기실적) 대비 실적의증감분석을 통해 차이원인을 Drill-down하여 차이요인을 분석하는 형태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손익증감분석은 판매/생산/구매부분별 손익원인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손익차이분석 솔루션은 판매/생산/구매부분별 손익원인을 명확히 분석하고 가시화하여 차이원인을 Drill-down 하여 Action Plan을 구체화시켜가는 과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PVA Positioning
EPM은 기업경영프로세스를 통합 지원하여 기업의 사업계획수립에서 성과관리까지 전략경영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솔루션입니다.
PVA는 “손익계획 및 레포트,분석” 단계의 사전경보 & 원인분석에” 해당하는 특화된 솔루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부분계획수립 (Budgeting & Forecasting) |
계획결합 (Consolidation) |
손익계획 및 레포트, 분석 |
손익 조정 (Simulation) |
손익 조정 (Simulation) |
---|---|---|---|---|
|
|
|
|
|
PVA Tree
PVA 개선효과
손익목표달성은 Management key Factors의 (예, 시장규모, 시장점유율…)적절한 조합 하에 가능한 만큼, 경영성과평가는 key Factors의 손익에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경영환경에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 했는지를 평가하는 형태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PVA는 월 중(년 중)에 발생한 주요 Management Issue를 명확히 분석하고 가시화하여 (문제점인식, 원인규명) 향후 필요한 Action Plan을 구체화 시켜가는 과정을 가능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