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사에 대한 상세정보 : 1906년, 고종황실에 의해 탄생된 국내 최초의 민족여성사학 숙명여대는 전 캠퍼스에 거쳐 디지털화를 실현하는 ‘유비쿼터스 대학’, 구성원간 지식을 공유하며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지식경영대학’, 여성 특유의 섬세함과 부드러움으로 문화를 선도해 가는 ‘문화선도 대학’이다. 1995년에 제2차 아학을 선언한 이후, 제2창학 캠퍼스인 ‘르네상스 플라자’를 조성하고 9개 단과대학, 43개학과, 13개 대학원, 총 학생수 12,150명의 대규모 종합대학으로 성장하였다. 2006년 창학 100주년을 맞이 하였으며, 21세기형 여성리더를 양성하는 세계최고의 리더십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당 산업 프로세스에 대한 고객의 pain point 기술
– 기존 전산시스템의 Program 개발/유지보수 증가에 따른 TOC가 증가일로에 있었으며, 전산 통합성이 미흡하여 재무와 관재간의 고정자산 불일치 하는 등의 문제점 축적되어 가고 있었다. 다단계 수작업 결재 과정으로 인하여 결재 지연 및 업무처리 비효울의 문제점 또한 누적되어 변화와
개선의 요구에 대한 전산시스템의 부응이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책임경영으로 가기 위한 기초 정보 파악이 불가할 뿐만이 아니라, 원가 및 경영정보 또한 미흡한 상태였다.
프로젝트 동안 개선된 업무내역 – 기초Data확보가능 (서비스 정보의 경영 자원화)
– 구매-고정자산-예산-회계의 실시간 통합 Data 일관성 유지를 통한 예산의 남용/오용 제어
– ERP와 전자결재 연계 구현을 통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는 신속한 결재
– 기금재원별/조직단위별/예산항목별 실시간 예산/집행 Status 관리
– 조직/직무/교직원 정보의 통합관리를 통한 신속한 인사업무처리
– 유지보수 예산의 중복집행 및 과다 지출 방지(유지보수이력관리)
– 연구관리와 재무/예산/구매 통합관리 교내/외 과제관리 투명화, 신속화, 중앙집중화
– 학과/ 전공별 원가계산 실시 및 대학별 핵임회계 구현 기반 마련
– 대학 종합평가지표의 System화
– 학교회계와 다른 기업회계기준에 준하는 산학협력단 정보시스템을 동시에 가동